--------------------------

여기서 문법적인 내용을 여쭤봐도 대나여?
강의도중에 원장님께서 공부하다가 궁금한 내용이 생기면
여기다가 글을 남기라고 하신 말씀이 생각나서 이렇게 글을 남기는데요
이런 글이 없어서 여기다 남겨도 되는지 .. 일단 남길께요...
처음에는 영작하다가 시작된 일인데 나중에는 이것저것 문장을 찾다가..
어떤 문장을 놓고 친구랑 이거다 저거다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데요
Keep in mind that the many details are given to support an overall main idea. <-- 이 문장입니다..(영작한 문장은 아니고 있는 문장..정확도를위해)
한명의 의견은(제 의견ㅠ)
Keep in mind 를 통째로 동사로보고(동사+전치사+명사라 이상하긴하지만
실제로 keep in mind를 명심하다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that이 명사절을 이끌기 때문에 that이하를 명사절로 즉, keep in mind의
목적어로 보는 의견입니다..
다른 한 친구 의견은
keep in 이 자동사+전치사로 타동사로 쓰이고 mind가 keep in의 목적어
그리고 that은 관계부사로 쓰엿고 that이 이끄는 절이 mind를 꾸며주는
형용사절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두명다 지식이 깊질 못해서...
앞으론 더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둘 중에 어떤 의견이 맞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ps) 혹시 keep ~ in mind라는 구문에서 ~에 들어가는 목적어가 (위 글에서는
that이하가 목적어인데) 길어서 in mind 뒤로 뺄수 있는지요? 가목적어를
쓰지 않고도 가능한지...
ㆍ게시물 : 13,156건 ㅣ 전체 : 10,083건
긴목적어가 뒤로 이동된것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목적어는 주로 뒤에 보어가 있을 경우 사용됩니다 .
Keep in mind
that the many details are given to support an overall main idea. 이구문에서 Keep in mind 를 자체를 타동사로 보고 that절이하를 목적오로 본다고 하셨는데 그럼 문장이 3형식이 되고 그렇다면 해석이
Keep in mind이것을 기억하다 라고하면 댓절을 기억하라 라는 해석이 나오구요. 맞는지 모르겠지만 마인드를 꾸며주는 댓이 관계부사로써 문장의형용사 역할로 마인드를 꾸며주면 keep in을 자동사+전치사 하나의 타동사 기억,유지하다로 해석하면 댓절의 마인드를 유지, 기억하다로 해석이 되는데 의미차이가 크진않지만 후자쪽으로 보는게 번역을했을때 명심하다쪽의 의미에 맞지 않나요?
동격절로 보는것이 타당할듯....
이런 형식을 따지는 것보다 중요한건 ...말하고 쓰기에 편리한것이 뭐냐일 겁니다...
몇 형식이 중요한게 아니라 ....